비전넘어 하이리빙 비전을 찾아라 (1)
1. 하이리빙사업에 대한 정확한 이해
잘 모르는 사람이 보는 다단계피라미드라고 생각하는 것을 살펴보면
1) 다단계판매 -> 물건대상중심을 판매 ---> 수입창출 (적법한 사업인 경우)
2) 하이리빙사업 (프로슈머, 광고) -> 멤버십(무형자산)을 가질 때 -> 인세수입 --> 상속
3) 하이리빙 비전을 제대로 이해못 하는 사람은 시간, 행동자세 노력등과 수입의 GAP차이에서
거의 포기한다. 하이리빙의 비전은 역(逆)GAP이다. 즉 인세수입과 상속이다.
4) 부자아빠 가난아빠 기요사끼의 수입4분면에서
부자가 되는 길은 노동수입에서 시스템수입으로 이사가는 길이다.
시스템이 있는 21c 사닥다리 비즈니스하는 근본은 무형자산을 만드는 하이리빙 사업이다.
1,2분 3.4분면으로 가는 것이 쉬운 것일 까요? 물건 하나 파는 간단한가요
5) 하이리빙에 와오면 비전, 성공, 꿈. 열정, 목표, 변화 .시스템. 리더. 기회, 도전, 가치.....
평상시 가족들끼리 얘기하고, 책들이 좋았다., TV 다큐만 열심히 봤다고 하는 분이 얼마나 있나요
지금은 공부해서 익숙해졌다. 인세수입을 넘어 상속한다.
나폴레온 불가능단어가 없듯이 보통사람들은 비전, 성공, 꿈. 열정, 목표, 변화 .시스템.
리더. 기회, 도전, 가치, 인세수입, 상속 단어가 없다.
2. 하이리빙 비전을 알려면
하이리빙의 비전 무점포, 무자본, 무위험 첫 비전이고 그런 비전을 통해서
하이리빙에 와서 비전을 느끼려면 내 꼬라지를 알아야 한다.
내 꼬라지를 알면 이렇게 살 사람은 하나도 없다.
하이리빙에 와서 평범하게 살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이리빙 만나기전에도 이렇게 생각했을까요? 학교, 은행지점장.
내생각 기준으로 잘났다고 살았고 남부럽지 않고 살아왔다고 괜찮게 생각했다고...
내가 정말 생각 하는 삶이 진짜 부자들의, 성공자들의 삶에 비하면
지극한 평범한 삶이라는 인정하는 데 얼마가 걸리지 않는 것이 하이리빙이다.
이 현실 점검이란?
지금과 같은 변화시대에 예전같이 똑같은 밥을 먹고, 똑같이 일하고 ,똑같은 사람 만나고
똑같이 책을 안보고, 똑같은 TV만보고, 게속 똑같은 일을 하면서 내 인생은 괜찮을 거야,
내 인생 잘될 거야, 이렇게 생각하는 걸 어느 신부님은 저주라고 했습니다.
변화하는 시대에 뭔가 바꿀려고 노력하지 않으면서 계속 똑같은 일을 정신이상 내지 저주다.
이런 시대에 꼬라지를 봐야지만 하이리빙이 주는 나의 비전을 볼 수 있다.
3. 앞으로 시대의 흐름
1) 삼성의 투자하는 방향과 마이크로트랜드 시대
100대기업이 대기업 30년 생존율 16%이다.
이건희삼성회장 10년 안의 삼성이 대표하는 사업과 제품이 사라질 것이다.
10년 후는 아무도 모른다, (2011.1.20)
.
삼성이 차세대 사업으로 뛰어든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역사는 길지 않지만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다. 특히 2012년 이후 블록버스터급 바이오신약의 특허기간이 줄줄이 만료되면서 국내
기업들이 한창 개발 중인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활짝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 바이오의약품 분야의 복제약을 일컫는다. 합성의약품의 복제약은
오리지널약과 약효가 같은 것으로 인정되지만 바이오시밀러는 제조공정에 따라 결과가 달라
지기 때문에 바이오신약과 똑같은 제품을 만들 수는 없는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이
때문에 용어에 ‘유사하다’는 뜻의 ‘시밀러(similar)’가 사용됐다.
삼성은 지난해 5월 오는 2020년까지 총 23조3천억원을 투자, 태양전지와 자동차용 전지,
발광다이오드(LED), 바이오 제약, 의료기기 등 5대 분야를 신수종 사업으로 집중 육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삼성 창업주 이병철회장은 특정상품이나 사업이 정상에 올랐을 때 다른 상품 다른 분야를
개척해야 한다. 모든 상품과 사명은 수명이 있고 한계가 있다. 이를 미리 아는 지혜가 아쉽다.
유지를 따라서 이건희 회장이 실천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미래전망에서 스마트- IT, 그린 - 환경 , 바이오- 생명이다.
삼성에서 바이오산업에 뛰어들었을까?
텔로미어라는 단어는 하이리빙 네트워크속에 있는 여러분과 밖에 있는 보통사람들과
아는 지혜가 다르다.
쥐를 가지고 유전자 조작하여 1.5배 더 사는 쥐를 만들었다. ☞ 인간에도 똑 같은 유전자가
있어 가능하나 부작용 우려 예) 텔로미어라는 염색체 말단의 유전자를 조작하여 수명 연장
제품에 나와 맞으면 150살을 살게된다.
암 기술 전 세계가 달려들어 하고 있고 2-3년에는 치매예방약이 나온다.
미래전망에 따라서 신성장동력사업으로
식량 2030인가 2050년에 먹을 것에서 대해서는 해방된다고.
바이오 사업으로 식물공장으로 식사 해결 즉 방안에서 식물을 길러먹는 바이오산업이 진화한다.
2) 브리티시 텔레콤
- 기계의 인터넷 지식이 인간을 능가 한다.
- 자동화 생산공정으로 인간의 일자리가 대부분 사라진다.
이를 미리 아는 지혜를 가지려고 하이리빙에서 공부하고 노력하는 사람이 되었다
하이리빙에서 익숙한 마이크로 트랜드인 하이리빙 네트워크마케팅을 하는 복 받을 사람이다.
3.) 정보를 독점하는 메가트랜드에서 보통평범한 사람도 정보공유하는 마이크로트랜드시대
● 이집트사태 리비아사태 석유많이 나는 나라 예면등도 ....
이집트사태 보면서 SNS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촉발하고 진전되어준 트위터, 평범한
대중사람이 정보를 공유하게 되면서 30년 정보를 독점했던 이집트 대통령이 하야하는 도망가는
일이 생기는 예전 같은면 만약에 메가트랜드사회였다면 가능하지 않다. 대중이 정보를 못가진다..
트위터등 일반대중이 정보를 가지는 마이크로트랜드의 시작이다.
● [중국 모리화 2차집회: 원자바오, 집회 당일 ‘넷심 달래기’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가 ‘중국판
모리화(茉莉花·재스민) 혁명’을 위한 제2차 집회가 열린 27일 중국 대중들과 직접 인터넷 대화에
나섰다. 중국 수석이 일반대중의 정보를 갖는 것에 두려움
북한은기반이 없지만 평양대학생들은 남한연속극, 인가드라마를 본다. 정부아나운서 얘기하는
뉴스보다 트위터의 글을 더 믿을 것이다.
● 우리나라 전세대란 아시죠
옛날엔 여력이 안 되어 가지고 월세를 사는데
집주인은 10곳에서 5-6배 반전세(전세+월세)를 원한다.
신문에 의하면 3억전세를 놓은 사람이 있다면
- 3억원 전세시 월이자 100만원
- 전세 2억원에 1억원전세 반전세 177만원
- 3억원 월세 210만원 이런 현상이 SNS의 정보공유 결과로
메가트렌드시대 큰돈을 갖고 부동산 투기, 주식 투자--->
대한민국 에전에 하는 평범한 사람은 재태크로 불안을 느끼고 있어
월로 인세수입으로 바뀐다. 고령화 오래 사는 것을 감안하면 다달이 나오는 인세수입 즉
마이크로트랜드 생각을 가지고 있다. 5개 세대만 가져도 210만원 × 5개=1000만원
● 보아와 소녀시대의 일본상륙하는데 SNS 위력
보아는 일본상륙하는 데 수많은 장비를 투자해서 5년 걸렸다.
소녀시대 일본상륙하는 데 하루만에 성공 -->
유튜브 세계동영상사이트 기획사 제작사 홍보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유트브 다 알고 있는
소녀시대노래 다운 좋아하는 아이들이 미국, 태국, 유럽, 일본 소녀시대 G노래 조회건구가
4000여만건 공짜니까 100원이면 얼마인가요? 유튜브는 때 돈을 버는 부자로 변해가는....
● 소셜네트웍쇼핑 - 뭉치면 싸진다. 소셜쇼핑 확산
개인이 업체물건 50,000원짜리를 50명이 인터넷으로 하루시간을 주고 같이 구매하면 30,000원이
되는 거요 .그런 쇼핑몰 운영하는 사람들이 소셜네트웍 이라한다.
대박나는 음식점의 50%할인 쿠폰을 몇 시간 사이에 다운받아 가지고가면 50%할인 받는다.
소비자의 인맥에 기반하는 “소셜 쇼핑”이 새로운 트랜드로 떠오르고 있다. 소셜쇼핑은 트위터 등
소셜 미디어와 온라인 미디어를 이용해 물건을 사고파는 새로운 전자상거래 방식이다.
일정 인원이 모이면 한가지 서비스나 상품을 50%이상 할인된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구매형이 가장 많다.
● 마이크로트랜드로 변해가는 시대에 맞는 하이리빙인가? 하이리빙만 보면 안 되고
내가 살고 이 시대가 하이리빙이 많은 학자와 성공자 말하는 시대에 흐름에 같이 가는 유통사업이
되어야 한다. 하이리빙만 마이크로 트랜드 열심히 간다면 실제 사회가 안 간다면 같이 성공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다.
'경제프로슈머 > 프로슈머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셜웹시대 흐름에 맞는 i-commerce 프로슈머 마케팅에 대해서 제대로 알고계시는지요? (0) | 2011.06.20 |
---|---|
i-commerce란 - 하이리빙 비전 (0) | 2011.05.08 |
선진국형 네트워크마케팅 빅뱅 미국, 일본 이어 한국? (0) | 2011.04.23 |
비전넘어 하이리빙비전을 찾아서 (2) (1) | 2011.04.23 |
연속적인 시간(time)보다 의미 있는 때(timing) (0) | 2011.04.23 |